
저에게는 희망이 필요합니다
1950년 6월 27일.
28세인 미국의 한 여성 신문기자 마거릿 하긴스가
6.25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서
대한민국에 왔습니다.
그녀는 이후 인천상륙작전과 장진호 전투 등
전쟁의 최전선에서 한국의 참혹한 현실을 전 세계에 알렸으며
1951년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을
받게 됩니다.
그녀는 6.25 전쟁에 얽힌 일화가 있었습니다.
영하 30~40도에 육박하는 강추위가 몰아치는 가운데
연합군과 중공군 사이의 공포에 지친 병사들과 함께
얼어붙은 통조림을 먹고 있었습니다.
그녀의 옆에 있던 한 병사가
극도로 지쳐 보이는 표정으로 멍하니 서 있었는데
그녀는 그에게 물었습니다.
“만일 제가 당신에게 무엇이든지
해줄 수 있는 존재라면 제일 먼저 무엇을
요구하겠습니까?”
그러자 이 병사는 한동안 아무 말 없이
서 있다 이렇게 답했습니다.
“저에게 내일을 주십시오!”
그에게는 포탄도 따뜻한 옷과 음식도 아닌
이 전쟁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다는 희망
내일이 절실하게 필요했습니다.
‘희망의 원리’라는 도서에서는
희망에 대해 이렇게 정의합니다.
첫째, 인간은 빵이 아닌 희망을 먹고 산다.
둘째, 희망을 잃어버린 것은 삶 자체를 잃어버린 것이다.
셋째, 희망은 최악을 극복하게 하는 힘이다.
넷째, 희망은 배우고 훈련해야 한다.
다섯째, 희망은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.# 오늘의 명언
비록 태양이 사라져도,
나는 한 줄기 빛을 얻으리라.
– 커트 코베인 –
私は希望が必要です
1950年6月27日。
28歳の米国のある女性新聞記者、マーガレット・ハギンスが
6.25戦争を取材するために
韓国に来ました。
彼女は以降、仁川(インチョン)上陸作戦と長津湖戦闘など
戦争の最前線で韓国の残酷な現実を全世界に知らせており、
1951年女性初のピューリッツァー賞を
されることになります。
彼女は6.25戦争にまつわる逸話がありました。
氷点下30~40度に肉迫する極寒が襲っている中、
連合軍と中国共産軍の間の恐怖にくたびれた兵士たちと一緒に
凍りついた缶詰を食べていました。
彼女のそばにいたある兵士が
極度に疲れて見える表情でぼんやりと立っていたが
彼女は彼に聞きました。
“もし私があなたに何でも
してくれる存在ならば、一番先に何を
要求しますか?”
すると、この兵士はしばらく何も言わずに
立っているこのように答えました。
“私に明日をください!”
彼には砲弾も暖かい服や食べ物もない
この戦争で死なず、生き残れるという希望
明日が切実に必要しました。
‘希望の原理’という図書では
希望についてこう定義します。
第一に、人間はパンではなく希望を食べて生きている。
第二に、希望を失ったものは、人生自体を失ったものだ。
第三に、希望は最悪を克服するようにする力だ。
第四に、希望は習って練習しなければならない。
第五に、希望は人間を人間らしくする。#今日の名言
たとえ太陽が消えても、
私は一筋の光を得るだろう.
–のカート・コバーン–
Auto Amazon Links: No products found.